본문 바로가기

뉴스

기준금리 동결 효과는?

반응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15일 결정했습니다.

작년 7, 8, 10, 11월과 올해 1, 2, 4, 5월에 이어 아홉 번째 '동결'입니다.

지난해 3월 16일 금통위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 0.5%포인트(p)를 한 번에 낮추는 이른바 '빅컷'(1.25%→0.75%)을 단행했고, 5월 28일 추가 인하(0.75%→0.5%)를 통해 2개월 만에 0.75%포인트나 금리를 빠르게 내렸습니다.

 

이주열 총재

 

기준금리 동결 0.5%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째 1000명대를 기록하는 등의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 사태가 예상보다 길어지면 경기 회복 속도가 기대보다 늦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심화할 경우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내수 회복세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가 내놓은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보면 민간소비는 올해 2.8% 증가하며 반등하지만, 이는 2020년(-5.0%)의 절반 수준의 회복입니다.

 

지난 7일 한국개발연구원(KDI)는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되고 감염병 확진자 수도 급증함에 따라 경기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6월 말 이후 코로나 19 확진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향후 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확산 변수가 단기에서 중장기적 변동 요인으로 가는지를 봐야 한다"며 "코로나가 올해 말까지 이어진다고 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연내 금리 인상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 확산세가 지속될 경우 실물 경제 회복이 더뎌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장의 예상과도 일치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최근 채권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00명 중 89명이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금융 불균형 심화와 물가 상승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인상 등 추가 대책 기대감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1700조를 넘어선 가계부채의 폭증과 부동산 등의 자산 가격 쏠림은 기준금리 인상의 근거로 제시됩니다. 또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5.4%나 상승하는 등 인플레 압력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달 24일 "완화적 통화정책을 연내 적절한 시점에 정상화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준금리 동결효과

금리가 낮은상태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게 되면 은행이자보다는 다른 투자종목에 돈의 유동성이 증가하게될것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금리가  높은 상태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게 되면 투자보다는 은행에 적금을 들게 될것입니다

반응형